칸영화제3 영화<트리 오브 라이프>,아버지에 대한 성찰과 영화에 담긴 메시지 베이비 붐 시대에 태어난 나의 아버지는 가부장적이고 강한 분이다. 유년시절 아버지의 규율을 따르지 않으면 힘들었던 기억이 있다. 그 시절의 아버지는 가장으로서의 책임감, 강인함을 가족 구성원에게 보여야 하는 시대였고 우리가족은 당연히 아버지의 삶의 방식을 따랐다.최근 내가 자녀를 낳고 아버지가 되어보니 어릴적 나의 아버지가 나에게 했던 말, 행동 등이 이해가 되면서 요즘은 아버지와 많은 대화를 나눈다. 아버지의 삶은 언제나 어렵고 힘들고 모순적이지만 그 안에 가족에 대한 사랑은 위대하고 경이롭고 희생정신이 가득하다.영화 는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잘 나타내 주는 영화이다.내 블로그를 방문한 사람들은 한번쯤은 이 영화를 찾아보면 좋을 것 같다. 영화 소개 테렌스 말릭의 '트리 오브 라이프'(2011)는.. 2024. 12. 5. 영화<슬픔의 삼각형> 현대 사회의 자본주의와 계급 구조에 대한 극명한 성찰 현대 사회는 자본주의 사회이기 때문에 "부의 불평등' 은 있을 수 밖에 없는 일이다.안타깝게도 현대사회는 부의 불평등을 가속화 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부의 불평등이 심해지면 사람들은 더욱 이기적으로 변하게 되고 이것은 타인에 대한 신뢰도를 하락시키고 사회적 관계의 질은 내려갈 수 밖에 없다.부를 쌓아두지 못한 나는 답답할 뿐이다.이러한 시점에 을 소개해 본다. 영화 소개루벤 오스트룬드 감독의 2022년 영화 '슬픔의 삼각형'은 현대 자본주의, 계급 분열, 사회 구조의 표면적 성격을 비판하는 불안한 풍자 작품입니다. 칸 영화제에서 권위 있는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이 영화는 부유층과 권력층의 부조리를 탐구하고 부, 아름다움, 사회적 지위의 부조리를 깊이 파고듭니다. 오스트룬드는 유머, 충격, 불편한 .. 2024. 12. 3. 영화<아노라>, 황금종려상 수상이유, 감독이 영화를 통해 하고자 했던 말. 부의 불균형, 불평등은 예전부터 전 세게적으로 큰 이슈였습니다.시간이 지날수록 빈부격차는 더욱 심해지고 있습니다. 저소득 계층의 사람들은 음식, 주택, 의료와 같은 기본 필수품을 구하기 위해 노동력을 제공하고 부자들은 낮은임금과 힘든작업을 제공하며 더욱 많은 부를 축적하고 있습니다.이러한 현실속에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인 영화를 통해 감독이 관객에게 주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영화 소개 2024년, 숀 베이커 감독의 매혹적이고 감성적인 드라마 '아노라'가 칸 영화제에서 권위 있는 황금종려상을 수상했습니다. 글로벌 영화계에서 가장 높은 영예 중 하나인 이 상은 영화 특유의 스토리텔링, 깊은 사회적 논평, 영화 제작자로서의 베이커의 대담한 비전을 증명하는 것이었습니다. 소외된 지역사회에.. 2024. 12. 2. 이전 1 다음